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festyle660

윤활관절의 구조, 기능 및 관절가동기법과 골격근의 구조적 특성 윤활관절의 구조와 기능 윤활전관, 윤활액, 관절연골, 관절낭, 운활막, 관절낭인대로 되어 있고 관절면을 덮고 있는 연골을 관절연골이라고 하고 마찰 감소, 체중부하를 분산 하고, 혈관, 림프관, 신경분포가 없다. 관절낭은 바깥 막인 관절낭인대가 있고 안쪽 막인 윤활막이 있다. 관절낭인대는 관절수용기가 많고 혈관분포가 적고 윤확막은 윤활액을 생산하고 혈관분포가 많아 온도에 민감하다. 두 뼈의 관절면 사이의 공간을 관절강이라고 하고 윤활액, 관절 움직임이 일어나는 공간이다. 윤활액은 윤활막의 혈관에서 여과된 혈장, 관절면 윤활 작용 및 연골 영양분 공급을 한다. 온도가 상승하면 윤활액의 양은 증가하고 점성은 떨어진다. 반대로 온도가 떨어지면 윤활액의 양은 감소하고 점성이 올라간다. 그리서 관절 유리체 형성(퇴.. 2023. 10. 28.
인체 움직임의 이해: 관절과 움직임의 다양한 측면 인체의 움직임 3차원적 움직임으로 축을 통한 움직임이냐 면에서의 움직임이냐 축을 통한 움직임으로는 수직축, 관상축, 시상축이 있다. 수직축은 말그대로 수평면에서의 움직임을 말하고 관상축은 시상면에서의 움직임을 말하고 시상축은 관상면에서의 움직임을 말한다. 면에서의 움직임으로는 시상면, 관상면, 수평면이 있다. 시상면은 굴곡, 신전, 배측굴곡과 저측굴곡, 전인, 후인이 있고 관상면에서는 외전, 내전, 측방굴곡, 요측편위, 척측편위, 내반, 외반이 있다. 마지막으로 수평면으로 내회전과 외회전, 축회내, 축회외가 있다. 인체의 관절 인체의 관절은 부동관절이냐 가동관절이냐로 분류된다. 부동관절은 움직임이 없거나 미세한 움직임만 허용하는 관절로 섬유성 관절과 연골성 관절이 있다. 섬유성 관절은 불규칙성을 가지고 .. 2023. 10. 28.
근육 통증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 및 근골격계 해부학 복부 근육들(Abdominal Muscles) 증상 ※ 내장 질환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켜 진다넉인 혼란을 일으킨다. 1) 복근에 있는 T.P로 기인된 증상들 - 전복벽 증후군(Anterior abdominal wall syndrome) ① 복근의 동작과 관련된다. (예:엎드려 뻗치거나 윗몸일으키기 등) ② 음식의 섭취나 배설과는 관련이 없이 거의 지속되는 통증이다. ③ 복부 중앙 외측연의 T.P.는 몸을 구부려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통증이 악화된다. ④ 복통 자체보다는 복부 불편감, 답답함 등의 고통을 호소한다. ⑤ 상부 1/4 우측 복부의 통증은 담낭질환으로 쉽게 혼동한다. ⑥ 충수염과 유사한 통증이 우측 외복사근의 늑골 부위에서 발현된다. 2) 복근 외의 T.P.에서 기인된 증상들 ① 전거근.. 2023. 10. 25.
만성 콩팥병의 초기 증상, 증상과 예방법 더보기 목차 들어가며 만성 콩팥병의 정의와 원인 만성 콩팥병의 초기 증상 만성 콩팥병의 후기 증상 만성 콩팥병의 예방법 마치며 들어가며 만성 콩팥병은 콩팥의 기능이 서서히 저하되어 신장 기능이 30%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만성 콩팥병은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지 않으면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혈액 투석이나 복막 투석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만성 콩팥병의 정의와 원인 만성 콩팥병은 콩팥의 기능이 서서히 저하되어 신장 기능이 30%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콩팥은 우리 몸에서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데, 만성 콩팥병이 발생하면 콩팥의 기능이 저하되어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만성 콩팥병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고혈압과 당.. 2023. 10. 24.
반응형